소동물 수의마취 - 대상 환자
베터플릭스는 크롬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
강의소개
대상 환자(Target patient)
이 강의를 통해 소동물 마취에 있어서 대상 환자에 대한 부분을 환자의 평가와 안정화, 종별 고려사항, 환자 준비로 나누어서 학습합니다.
1. 환자의 평가와 안정화(Evaluation & Stabilization)
환자를 안전하게 마취하려면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마취 프로토콜을 진행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서는 먼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환자를 마취가 가능한 상태로 안정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참석하신 수의사 분들께서는 이 강의를 통해 고려해야 할 환자의 상태와 이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시게 될 것입니다.
2. 종별 고려사항(Species consideration)
수의사는 다양한 동물을 다루기 때문에 각각의 종에 따른 마취 위험도의 차이를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. 주로 진료하게 되는 동물인 개와 고양이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고, 동일한 종인 개 사이에서도 품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. 이 강의는 수의사 분들이 서로 다른 종, 품종 간의 주요한 차이와 그에 따른 주의사항을 숙지하실 수 있게 도와드릴 것입니다.
3. 환자 준비(Patient preparation)
수술이 필요하다고 해서 환자를 당장 마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구토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환자를 절식, 절수시켜야 하고, 환자가 마취를 견뎌낼 수 없는 상태에 있다면 환자를 안정화시켜 마취가 가능한 상태로 준비시켜야 합니다. 이 강의는 절식 및 절수 시간, 수액의 종류 등 수의사 분들이 마취 전 환자를 준비시킬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알려드릴 것입니다.
[강의요약]
1. 환자의 평가와 안정화(Evaluation & Stabilization)
2. 종별 고려사항(Species consideration)
3. 환자 준비(Patient preparation)
4. 질의응답 (Q&A)
*이 영상은 2020 수의마취 세미나 3회 강의를 촬영한 영상입니다. 수술영상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.

강의자/집도의

손원균 임상교수
서울대학교 동물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임상교수
- 서울대학교 수의외과 조교
-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전임 수의사
-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수련 수의사 과정
-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사 졸업
-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학부 졸업
교육과정
1-1 Cause of anesthetic mortality | 00:00:59 |
1-2 Heart rate & Cardiac output | 00:58:33 |
2-1 Species consideration | 02:01:16 |
2-2 Hypothermia | 02:15:32 |
3-1 Fasting | 02:37:02 |
3-2 Hydration | 02:48:06 |
질의응답 | 03:01:43 |
끝 | 03:13:5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