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soesophageal(gastric) intubation
비식도관은 자발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실시되는 영양공급관으로 정확한 장착법이 요구되며 이 과정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관 장착 부위의 열개, 누공 및 감염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Q. 구토가 있는 경우 비식도관이나 식도루관을 설치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?
A. 비식도관과 식도루관은 구토가 없는 경우에만 장착할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에는 정맥을 통한 TPN이 지시됩니다.
- 강의 후 질의응답 중
* “Feeding Tube Placement for Nutritional Supply-①Nasoesophageal intubation, ②Esophagostomy intubation, ③Gastrostomy intubation, ④Enterostomy intubation” 4개 콘텐츠의 “술후 부작용 및 질의응답” 부분의 내용이 동일합니다.
[강의요약]
1. 영양보급관 장착 종류
2. 비식도관
3. 술 전 고려사항
4. 비식도관의 장점과 단점
5. 비식도관 장착 과정
6. 시연 및 강의
7. 설치 후 부작용과 술후관리 및 질의응답
이 강의는 3D LIVE SURGERY에서 촬영된 영상입니다.


- 한국수의외과학회 일반외과 위원장
-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과학 연구소, 건국 바이오텍, 리제닉스 연구원
- 한강 동물병원, 우성 동물병원, 부산 메디컬센터 외과 과장
- Department of Small Animal Soft Tissue Surgery,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, University of Missouri 연구원
-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사
-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 전임 수의사 (인턴, 레지던트 수료)
이론강의 | 00:00:07 |
영양보급관 장착 종류 | 00:00:34 |
비식도관 | 00:02:18 |
술 전 고려사항 | 00:03:01 |
비식도관의 장점 | 00:07:48 |
비식도관의 단점 | 00:09:32 |
비식도관 장착 과정 | 00:09:44 |
시연 및 강의 | 00:23:12 |
국소마취 | 00:23:47 |
튜브 길이 측정 | 00:24:46 |
비식도관 진입 | 00:25:45 |
비식도관 장착 확인 | 00:27:42 |
비식도관 고정 | 00:28:49 |
비식도관 물 충전 | 00:33:40 |
술 후 강의 | 00:34:41 |
튜브 설치 후 부작용 | 00:34:50 |
술 후 관리 | 00:40:55 |
질의응답 | 00:42:18 |
끝 | 00:46:57 |